본문 바로가기
SYUDY

건축기사 필기,실기 [건축시공]

by 제응 2021. 12. 23.
728x90
반응형

* 굳지 않는 콘크리트의 성질

1. 용어
(1) 시공연도(Workability-워커빌리티) : 반죽 질기 여하에 의한 작업의 난이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2) 반죽질기(Consistency-컨시스턴시) : 수량의 다소에 의한 반죽의 되고 진 정도를 나타내는 성질
(3) 성형성(Plasticity-플라스티시티) : 구조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잘 채워질 수 있는지의 난이 정도
(4) 마감성(Finishability-피니셔빌리티) : 골재의 최대 치수 및 반죽질기에 따르는 표면정리의 난이 정도


2. 시공연도

(1) 요인
- 시멘트량
- 단위수량
- 굵은 골재 최대 치수
- 잔골재율

(2) 시험항목
- 슬럼프 테스트
- 플로 시험
- 비비 시험
- 낙하 시험

(3) 시공연도와 재료의 관계
- 포졸란/플라이애쉬를 사용하면 시공연도 증가
- 굵은 골재로 쇄석을 사용하면 시공연도 감소
- 풍화된 시멘트를 사용하면 시공연도 감소
- 비빔시간이 과도하면 시공연도 감소


3. 콘크리트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단위수량이 커지면 컨시스턴스는 증가함
(2) 슬럼프가 과도하게 커지면 굵은 골재의 분리와 블리딩량이 증가함
(3) 동일 슬럼프에서 공기량이 증가하면 단위수량은 감소함
(4) 기온이 올라가면 슬럼프는 감소함


4. 재료분리

(1) 원인
- W/C가 크고 모르타르 부분의 점성이 적은 경우
- 입자가 거친 잔골재를 사용하는 경우
- 타설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
- 시공연도가 지나치게 큰 경우

(2) 대책
- W/C비를 작게함
- 잔골재율을 크게함
- 콘크리트의 성형성(Plasticity)을 증대시킴
- AE제, 플라이애쉬를 사용함
  • 블리딩 : 콘크리트 타설 후 생콘크리트의 지중압에 의
    해 수분이 상승하는 현상
  • 레이턴스 : 블리딩으로 인한 잉여수(extra water)가  
    증절된 뒤 콘크리트 표면에 남는 하얀 이물질


5. 균열의 종류

(1) 건조수축(플라스틱 균열)의 발생 원인 : 시멘트 성분 중 C3A, 분말도가 큰 시멘트, 흡수율이 큰 골재, 사용수량 과다 시

(2) 침하(침강) 균열의 발생원인
- 철근 직경이 너무 큰 경우
- 콘크리트 피복 두께가작을 때
- 슬럼프가 큰 경우
- 불충분한 다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