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
21. 다음 중 맴브레인 방수공사에 해댱되지 않는 것은?
(1) 아스팔트 방수 공사
(2) 실링 방수 공사
(3) 시트 방수 공사
(3) 도막 방수 공사
정답: (2)
맴부레인 방수공사란 시멘트에 물을 막을 수 있는 막을 칠해서 방수하는 방법이다(피막방수)
실링방수공사는 실런트, 코킹, 가스킷 등을 사용한 방수이다.
22. 용접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래그함입-용융금속이 급속하게 냉각되면 슬래그의 일부분이 달아나지 못하고 용착금속 내에 혼입되는 것
(2) 오버랩-용접금속과 모제가 융합되지 않고 겹쳐지는 것
(3) 블로우 홀-용융금속이 응고할 때 방출되어야 할 가스가 잔류한 것
(4) 크레이터-용접전류가 과소하여 발생
정답: (4)
크레이터란 항아리 모양으로 끝부분이 패이는 것을 말한다./용접전류 과다로 발생
23. 사질 지반 굴착 시 벽체 배면의 토사가 흙막이 틈새 또는 구멍으로 누수가 되어 흙막이벽 배면에 공극이 발생하여 물의 흐름이 점차로 커져 결국에는 주변 지반을 함몰시키는 현상은?
(1) 보일링현상
(2) 히빙현상
(3) 액상화 현상
(4) 파이핑 현상
정답: (4)
보일링 현상(=액상화 현상)과 파이핑 현상은 사질지반에서 일어난다
- 보일링 현상 : 사질 지반에 지하수나 피압수가 있을 때, 모래 입자가 부력을 받아 지지력이 없어지는 현상
- 파이핑 현상 : 흙막이벽의 부실공사로 인해 뚫린구멍이나 이음새를 통하여, 공사장 내부에 파이프처럼 물이 흘러 보일링 현상이 일어나는 것
- 히빙 현상 : 연약점토지반에서 일어나며, 흙막이 바깥 흙의 중량과 적재하중의 중량에 못 견뎌, 흙막이 바깥 흙이 안으로 볼록하게 밀리는 현상
24. 방수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통 수압이 적고 얕은 지하실에는 바깥방수법, 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실에는 안방수법이 유리하다.
(2) 지하실에 안방수법을 채택하는 경우, 지하실 내부에 설치하는 칸막이벽, 창문틀 등은 방수층 시공 전 먼저 시공 하는 것이 유리하다.
(3) 바깥방수법은 안방수법에 비하여 하자보수가 곤란하다.
(4) 바깥방수법은 보호 누름이 필요하지만, 안방수법은 없어도 무방하다.
정답: (3)
(1) 수압이 큰 경우 바깥방수법을 쓸 수 있으며, 수압과 상관없이 쓸 수 있다. 그에 비해 안방수법은 수압이 큰 경우 사용할 수 없다.
(2) 바깥방수법의 경우 본공사 전에 선행되어야하며 안방수법의 공사시기는 자유로이 선택이 가능하다.
(3) 바깥방수는 본공사보다 선행되기도 하고, 정밀한 시공이 요구되므로 하자보수가 곤란한 편이다.
(4) 안방수법은 수평방향을 제외한 곳은 보호누름이 필요하다.
25. 건축공사에서 공사원가를 구성하는 직접공사비에 포함되는 항목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자재비, 노무비, 이윤, 일반관리비
(2) 자재비, 노무비, 이윤, 경비
(3) 자재비, 노무비, 외주비, 경비
(4) 자재비, 노무비, 외주비, 일반관리비
정답: (3)
이윤과 일반관리비는 직접공사비에 포합되지 않아요.
26. 무지보공 거푸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부공간을 넓게 하여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2) 슬랩(slab) 동바리의 감소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3) 트러스 형태의 빔(beam)을 보거푸집 또는 벽체 거푸집에 걸쳐 놓고 바닥판 거푸집을 시공한다.
(4) 층고가 높을 경우 작용이 불리하다.
정답: (4)
페코 빔(Peco beam)은 신축 가능한 무지주 수평지지보이다. 이를 사용하면 천장이 높은 건물에 유리하다.
27. 그림과 같은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주공정선(Critical path)은?
(1) 1→3→5→6
(2) 1→2→4→6
(3) 1→2→3→4→6
(4) 1→2→3→5→6
정답: (4)
주공정선 - 가장 많이 걸리는 날
1→3→5→6 : 21일
1→2→4→6 : 17일
1→2→3→4→6 : 19일
1→2→3→5→6 : 27일
28. 다음 중 공사감리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은?
(1) 설계도서의 적정성 검토
(2) 시공상의 안전관리지도
(3) 공사 실행예산의 편성
(4) 사용자재와 설계도서와의 일치여부 검토
정답: (3)
공사실행예산의 편성은 도급자 시공업자의 업무이다.
29. QC(Quality Contril) 활동의 도구가 아닌 것은?
(1) 기능 계통도
(2) 산점도
(3) 히스토그램
(4) 특성요인도
정답: (1)
품질관리(T.Q.C 또는 Q.C)의 7가지 도구 : 히스토그램, 파레토도, 층별, 산점도, 특성요인도, 각종 그래프 및 관리도, 체크시이트
30. 지반조사 시 실시하는 평판재하시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험은 예정 기초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 성토작업이 필요하다.
(2) 시험재하판은 실제 구조물의 기초면적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재하판 크기의 영향, 즉 스케일 이펙트(scale effect)를 고려한다.
(3) 하중시험용 재하판은 정방형 또는 원형의 판을 사용한다.
(4) 침하량을 측정하기 위해 다이얼게이지 지지대를 고정하고 좌우측에 2개의 다이얼게이지를 설치한다.
정답: (1)
평판재하시험은 예정기초 저면(밀면) 시험이다.
31.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와 철골보가 일체로 되는 합성구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쉐어커넥터가 필요하다.
(2) 바닥판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크다.
(3) 자재를 절감하므로 경제적이다.
(4) 경간이 작은 경우에 주로 적용한다.
정답: (4)
건축물, 구조물, 교량 등에서 지점과 지점 사이의 서로 마주 보는 면(안 면)의 거리를 말한다.
→지점과 지점 사이의 마주보는 거리가 길수록 더 튼튼하게 하므로 작은 경우가 아니라 큰 경우에 해당한다.
3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바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내온도가 5˚C 이하일 때는 공사를 중단하거나 난방하여 5˚C 이상으로 유지한다.
(2) 정벌바름용 반죽은 물과 혼합한 후 4시간 정도 지난 다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초벌바름에 균열이 없을 때에는 고름질한 후 7일 이상 두어 고름질 면의 건조를 기다린 후 균열이 발생하지 아니함을 확인한 다음 재벌바름을 실시한다.
(4) 재벌바름이 지나치게 건조한 때는 적당히 물을 뿌리고 정벌바름한다.
정답: (2)
정벌바름용 반죽은 물과 혼합한 후 12시간 정도 지난 후 사용한다.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기경성이지만 물반죽이 가능한 미장재료이다.
33. 수밀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소요 슬럼프는 되도록 작게하며 180mm를 넘지 않도록 한다.
(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연행제, 공기연행감수제 또는 고성능 공기연행감수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공기량은 2% 이하가 되게 한다.
(3) 물결합재비는 50% 이하를 표준으로 한다.
(4) 콘크리트 타설 시 다짐을 충분히 하여, 가급적 이어붓기를 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2)
공기량은 4% 이하가 되게한다.
34. 건설공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공사비, 공사기일 등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2) 주로 도급식 또는 직영식으로 이루어진다.
(3) 육체노동이 주가 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4) 건설 생산물의 품질이 일정하다.
정답: (2)
35. 건축공사에서 활용되는 견적방법 중 가장 상세한 공사비의 산출이 가능한 견적방법은?
(1) 명세견적
(2) 개산견적
(3) 입찰견적
(4) 실행견적
정답: (1)
- 개산견적 : 건축 설계가 미완성된 경우나 상세한 견적을 계산할 기간이 짧은 경우에 과거에 시공된 유사 건물의 통계와 물가 지수를 참고로 하여 건축 공사비를 대략 예측하여 산출하는 것.
- 입찰견적 : 업체에서 입찰할 때 제출하는 견적
- 실행견적 : 예산을 만들 때의 견적
36. 건설현장에서 굳지 않는 콘크리트에 대해 실시하는 시험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럼프(slump) 시험
(2) 코어(core) 시험
(3) 염화물 시험
(4) 공기량 시험
정답: (2)
코어 시험은 굳은 콘크리트에 대해 실시하는 시험
* 굳은 콘크리트에 대해 실시하는 시험
→ 코어(core) 시험 : 콘크리트 구조체에서 경화된 콘크리트의 코어를 잘라내어 행하는 강도 시험
*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 대해 실시하는 시험
→ 슬럼프(slump) 시험 :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간단히 측정
→ 염화물 시험 : 특정 기계를 사용하여 염화물이 0.3kg/㎥ 허용치에 달하는 지 측정
→ 공기량 시험 : 평평한 곳에서 특정 기계로 균등하게 다져 압력을 가하여 측정, 보통콘크리트의 경우 표준 공기량은 3~5%이며 허용오차 ± 1.5%
37. 도장 공사 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의 건조가 불충분하거나 공기의 습도가 높을 때에는 시공하지 않는다.
(2) 불투명한 도장일 때에는 초벌부터 정벌까지 같은 색으로 시공해야 한다.
(3) 야간에는 색을 잘못 도장할 염려가 있으므로 시공하지 않는다.
(4) 직사광선은 가급적 피하고 도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도장하지 않는다.
정답: (2)
38. 철근콘크리트 공사 중 거푸집이 벌어지지 않게 하는 긴장재는?
(1) 세퍼레이터(Separator)
(2) 스페이서(Spacer)
(3) 폼 타이(Form tie)
(4) 인서트(Insert)
정답: (3)
- 세퍼레이터 : 철근간 간격이나 출근과 거푸집 간격을 유지
- 스페이서 : 피복도께 유지
- 인서트 : 볼트 등을 부착하기 위해 미리 매입한 철물
39. 목공사에 사용되는 철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잡이쇠는 큰 보에 걸쳐 작은 보를 받게 하고, 안장쇠는 평보를 대공에 달아매는 경우 또는 평보와 ㅅ자보의 밑에 쓰인다.
(2) 못의 길이는 박아대는 재두께의 2.5배 이상이며, 마구리 등에 박는 것은 3.0배 이상으로 한다.
(3) 볼트 구명은 볼트지름보다 3mm이상 커서는 안된다.
(4) 듀벨은 볼트와 같이 사용하여 듀벨에는 전단력, 볼트에는 인장력을 분담시킨다.
정답: (1)
안장쇠는 한 부재에 걸치고 다른 부재를 받는데에 쓰이고, 감잡이쇠는 평보를 대공에 달아매는 경우 또는 평보와 ㅅ자보의 밑에 쓰입니다.
40. 합성수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폭시 수지는 접착제, 프린트 배선판 등에 사용된다.
(2) 염화비닐수지는 내후성이 있고, 수도관 등에 사용된다.
(3) 아크릴 수지는 내약품성이 있고, 조명기구커버 등에 사용된다.
(4) 페놀수지는 아칼리에 매우 강하고, 천장 채광판 등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4)
페놀수지는 아칼리에 매우 약함
내열성이 뛰어나 장시간 고온에서 사용해도 강도 유지율이 크며, 초고온에서는 표면에 탄화층이 발생돼 단열효과로 내층을 보호해 직접 줄에 접촉하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
난연성이 있어 연소 시 가스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충격에 약하며 경화가 늦고 경화시 반응수의 방출이나 수분으로 인해 성형 조건 및 치수변화에 한계가 있다.
'SY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 간축계획-1 (0) | 2022.03.08 |
---|---|
건축기사 간축계획-1 (0) | 2022.03.08 |
건축기사 기출문제 + 정답&해설 : 계획 [2019.03.03] (0) | 2022.01.20 |
건축기사 필기[건축계획:건축일반, 주거건축, 숙박시설] (0) | 2022.01.16 |
건축기사 필기 기출문제[건축시공 오답 체크] (0) | 2022.01.10 |
댓글